반응형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워크넷에 구직등록을 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진행되는 **수급자 교육(온라인 또는 집체 교육)**도 필수입니다.
하지만 처음 해보는 분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뭘 준비해야 하지?" 헷갈릴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실업급여 신청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워크넷 구직등록 방법과 수급자 교육 절차를 2025년 기준으로 상세하게 안내해드릴게요.
✅ 1. 워크넷 구직등록 방법 (2025년)
워크넷(www.work.go.kr)은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국가 공식 취업 포털로,
실업급여 신청 전 반드시 구직등록을 해야 해요.
💡 워크넷 구직등록 순서
- 워크넷 사이트 접속
👉 www.work.go.kr - 회원가입 및 로그인
- 공인인증서 없이도 간편하게 가입 가능
- 네이버/카카오 인증도 가능
- 이력서 등록
- 메뉴에서 개인서비스 > 이력서 등록 클릭
- 최소 1개 이상 이력서를 등록해야 구직자로 인정됨
- 구직신청서 작성
- 메뉴에서 개인서비스 > 구직신청 클릭
- 희망 직종, 근무조건 등을 작성하고 저장
- 구직등록 완료!
- “구직신청 등록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면 끝!
📌 고용센터 방문 전까지 반드시 완료되어 있어야 수급 자격 인정이 가능해요!
🎓 2. 실업급여 수급자 교육 절차 (2025년 기준)
구직등록을 마쳤다면 이제는 실업급여 수급자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정식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수 절차예요.
🔹 수급자 교육 종류
교육 형태 설명
온라인 교육 | 워크넷에서 수강 가능. 대부분 첫 수급자는 이 방식 이용 |
집체 교육 | 고용센터에서 오프라인 진행 (재수급자, 특정 대상자 등 해당) |
💡 수급자 교육 진행 순서
- 워크넷 로그인 후 교육 신청
- www.work.go.kr 접속
- 메뉴: 실업급여 > 온라인 수급자 교육 클릭
- 온라인 교육 수강
- 약 1시간 분량의 동영상 시청
- 교육 중간 퀴즈 포함 (난이도 낮음)
- 이수 확인 후 고용센터 방문 예약
- 교육 이수 후 “수강 완료” 표시 확인
- 고용센터에 수급자격 인정 신청 예약
- 고용센터 방문 (1차 실업인정일 포함)
- 서류 지참 후 방문
- 이후 구직활동 기록에 따라 2주~4주 단위로 실업인정 진행
📂 수급자 교육 전 준비물 & 유의사항
항목 내용
필요한 준비물 | 신분증, 통장사본, 이직확인서(전자 제출 가능), 이력서 |
교육 이수 여부 | 수급 자격 인정 전까지 필수! 미이수 시 실업급여 지연 |
교육 재이수 가능 여부 | 재이수 가능하지만 수급일정에 영향 줄 수 있음 |
✅ 온라인 교육은 모바일에서도 가능하니 시간 날 때 틈틈이 보는 것도 좋아요!
🔚 마무리하며
🔹 워크넷 구직등록은 실업급여의 첫 단추
🔹 수급자 교육은 실업급여 자격을 위한 필수 단계
🔹 정확한 절차를 따라가면 실업급여 신청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실업급여는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새로운 직장으로 가는 징검다리입니다.
꼼꼼히 준비해서 안정적인 재취업 활동 이어가시길 바랄게요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이 글을 주변에도 공유해주세요 💬
반응형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수급 중 아르바이트 가능할까? (0) | 2025.04.25 |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총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4.24 |
실업급여 자격 확인! 자발적 퇴사 vs 권고사직,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을까? (1) | 2025.04.22 |
2025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 방법부터 지급 기간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4.21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완벽 가이드|온라인 vs 오프라인 비교까지! (1) | 2025.04.20 |
모바일신분증 사용처·방법 한눈에! 실물 없이도 인증 완료 (1) | 2025.04.19 |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총정리 (0) | 2025.04.19 |
2025년 실업급여 완벽 정리 - 자격부터 신청까지 한눈에 보기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