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5년 육아휴직급여 총정리 | 육아휴직 기간 18개월 연장, 신청 방법, 실업급여까지!

by 포스트인톡 2025. 3. 2.
반응형

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개선되어 육아휴직 기간이 기존 12개월에서 18개월(1년 6개월)로 연장되었습니다. 또한 급여 상한액이 인상되고, 지급 방식도 변경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오늘은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 조건, 육아휴직급여 신청 방법,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고용보험요율, 퇴사 사유, 육아휴직급여 계산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5년 육아휴직 주요 변경 사항

육아휴직 기간 연장: 기존 12개월 → 18개월(1년 6개월)로 연장
맞벌이 부부 최대 사용 기간: 각 18개월씩 총 36개월 가능
급여 상한액 인상: 기존 최대 150만 원 → 250만 원
사후 지급금 폐지: 기존에는 급여 일부를 복직 후 지급했으나, 2025년부터는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
분할 사용 횟수 확대: 기존 3회 → 4회까지 가능

출처 : kbs


2. 육아휴직 신청 조건

육아휴직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만 8세 이하(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
  •  동일 사업장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
  •  고용보험 가입자여야 함 (비정규직, 계약직도 가능)

3. 2025년 육아휴직급여 지급 기준

육아휴직 중에는 일정 금액의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기존(2024년)변경(2025년)

1~3개월 통상임금의 80% (최대 150만 원) 통상임금의 100% (최대 250만 원)
4~12개월 통상임금의 50% (최대 120만 원) 통상임금의 60% (최대 180만 원)
13~18개월 없음 통상임금의 50% (최대 150만 원)
사후 지급금 25% 복직 후 지급 폐지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

 

💡 예시: 월 급여 300만 원인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  1~3개월: 300만 원 × 100% = 250만 원 지급
  •  4~12개월: 300만 원 × 60% = 180만 원 지급
  •  13~18개월: 300만 원 × 50% = 150만 원 지급

4. 육아휴직급여 신청 방법

육아휴직급여는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서류

  1. 육아휴직 확인서
  2. 육아휴직급여 신청서
  3. 근로계약서 또는 급여 명세서
  4. 통장 사본
  5. 가족관계증명서

🔹 신청 절차

  1.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 → 승인 후 육아휴직 확인서 발급
  2.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 방문하여 급여 신청
  3. 매월 급여 지급 신청 (매달 1회 신청 필수)

5. 실업급여와 이직확인서

육아휴직 후 퇴사를 고민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실업급여 신청 조건

  •  비자발적 퇴사(권고사직, 계약 만료 등)
  •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  적극적인 구직 활동

🔹 이직확인서란?

퇴사 시 회사에서 발급해 주는 서류로, 실업급여 신청 시 필수 서류입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퇴사 후 2주 이내 제출해야 합니다.


6. 2025년 고용보험 요율

고용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하며, 매년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고용보험료율

구분근로자 부담사업주 부담합계

실업급여 보험료 0.9% 0.9% 1.8%
육아휴직 등 고용안정 사업 0% 0.35~0.95% 0.35~0.95%
총 부담률 0.9% 1.25~1.85% 2.15~2.75%

 

💡 예를 들어 월급 300만 원이라면,

  •  근로자는 0.9%인 27,000원
  •  사업주는 1.251.85%인 약 37,50055,500원 부담

7. 육아휴직급여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 통상임금별 육아휴직급여 지급액 예시 (2025년 기준)

     통상임금1~3개월 (100%) 4~12개월 (60%) 13~18개월 (50%)

200만 원 200만 원 120만 원 100만 원
250만 원 250만 원 150만 원 125만 원
300만 원 250만 원 (상한액 적용) 180만 원 (상한액 적용) 150만 원 (상한액 적용)
350만 원 250만 원 (상한액 적용) 180만 원 (상한액 적용) 150만 원 (상한액 적용)

결론

  • 통상임금이 250만 원 이하인 사람: 통상임금에 비례하여 급여 지급됨.
  • 통상임금이 300만 원 이상인 사람: 급여 지급액이 **상한선(250만 원, 180만 원, 150만 원)**을 초과할 수 없음.

8. 마무리

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대폭 개선되어 1년 6개월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급여 지급도 확대되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육아와 직장 생활을 병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